daaw의 인생 여행
경린이 경제공부 - 기준금리, 시장금리, 예금금리, 대출금리가 뭐예요? 본문
금리! 뉴스에 자주 나오는데… 정확히 뭘까요?
뉴스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했습니다”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하지만 금리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일상생활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막상 설명하자면 어려운 게 사실이에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제 일도 모르는 저같은 경린이를 위해 ‘금리’와 관련된 용어들을 하나씩 쉽게 정리해 봤어요.
제테크 초보자인 저를 포함해서 모든 경린이를 위한 기초 공부이니 같이 열심히 공부해 봅시다!
목차
1. 금리란 무엇인가요?
2. 기준금리
3. 시장금리
4. 예금금리 vs 대출금리
5. 금리와 경제의 관계
6. 자주 묻는 질문 (Q&A)
1. 금리란 무엇일까요?
금리(利率)란 쉽게 말하면 돈을 빌리는 데 드는 비용을 말합니다.
누군가에게 돈을 빌리면 이자를 더해서 갚아야 하잖아요?
그때 붙는 이자의 비율을 바로 금리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1년에 100만 원을 빌렸고 이자가 3만 원이면 금리는 3% 겠지요.
2. 기준금리는 무엇일까요?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에서 정하는 나라 전체의 금리 기준입니다.
이 금리가 올라가면 은행들도 예금금리 및 대출금리를 같이 올리고,
내리면 전체 시장의 금리도 낮아지게 되는 거에요.
긴준금리가 오르면 대출이자가 오르고 그러면 소비가 줄어 들게 됩니다.
반대로 기준금리가 내리면 대출이자가 내려가고 소비는 증가하게 되겠지요.
한국은행은 이러한 전체적인 경기 상황에 따라 기준 금리를 조절합니다.
3. 시장금리 [실제로 우리가 마주하는 금리]
기준금리가 금리의 기준이라면, 시장금리는 실제로 우리가 은행에서 만나는 금리와 가장 가깝습니다.
예금금리, 대출금리, 카드 할부 이자 등은 모두 이 시장금리에 영향을 받아 결정돼요.
4. 예금금리 vs 대출금리 – 생활에 가장 밀접한 금리을 알아봅시다.
• 예금금리: 은행에 돈을 맡기면 주는 이자율을 말합니다.
• 대출금리: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내가 내야 할 이자율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가 오르면 예금금리도 오르지만 현실적으로 대출금리가 더 빠르고 많이 올라갑니다.
사상 최대 은행 이익이 어쩌구 저쩌구 하는 원인 중 하나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때문이기도 하지요.
(물론 전체 이유는 아니겠지만요)
금리가 오르면 은행에 현금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이익이 올라가겠지만
대출이 있는 분들은 한달에 납부해야 하는 이자가 올라가니 힘들어지게됩니다.
5. 금리와 경제의 관계를 알아볼까요?
금리가 상승하면 대출 상황 부담이 증가하고 집값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집값은 금리 이외에도 많은 원인이 작동하기 때문에 무조건 하락한다고는 할 수 없게지요.
그리고 금리가 하락하면 대출부담이 완화되기 때문에 부동산이나 주식 등의 자산시장 상승 유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저금리가 장기화 되면 은행 예금으로는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은행에 예금하기보다 다른 투자처에 관심이 증가하게 됩니다.
고금리 시기가 길어지면 반대로 복잡하게 다른 투자처를 찾는 것 보다 은행에 넣어만 두어도 이자가 생기니 안정적인 예적금 상품의 인기가 증가하겠지요.
즉, 금리는 부동산, 주식, 환율, 소비심리까지 거의 모든 경제 흐름과 연결되어 있답니다.
금리, 알면 돈이 보인다고 해요.
경제를 잘 몰라도 괜찮아요.
금리 하나만 제대로 이해해도 뉴스가 다르게 들리고, 돈을 더 현명하게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차근차근 공부해서 우리도 경제 전문가가 되어 봅시다요!
'경린이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회사의 정의 주린이도 이해하는 구조와 개념 (0) | 2025.04.09 |
---|---|
주린이 경제 공부 배당이 뭐예요? (0) | 2025.04.07 |
관세 뜻 알아보기 (0) | 2025.04.07 |
ETF란 무엇일까요? 왕초보 경제 공부 쉽게 알아보기 (0) | 2025.04.05 |
인플레이션 뜻 초보자도 이해되는 경제 용어 (0) | 2025.04.04 |